Only the following pseudo-classes are implemented: nth-of-type.위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 selenium에서는 구글 크롬 개발자도구에서 셀렉터 카피에서 나오는 child 선택자인 nth-child 를 지원하지 않는다.하여, nth-of-type 로 쓰면 매우 잘 된다. 아래 글에 있는 p + p + p 방식을 써도 매우 잘된다. #참조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720442/selecting-second-child-in-beautiful-soup-with-soup-select
GCE는 기본적으로 VM을 실행하면 외부 IP(공인 IP, Public IP, External IP)을 제공한다.근데 이 IP는 재기동을 할 때마다 변동이 되어 도메인을 사용하여 VM IP를 지정할때 불편한 점이 있다. 그렇다고 고정 IP를 사용하자니 추가적으로 돈이 발생하는데 굳이 고정 IP까지는 필요 없는 상황이다. 하여, DDNS를 사용하여 재기동 시마다 자동적으로 바뀌는 외부 IP를 설정해주어 보자. 필자의 환경1. GCE VM Instance2. CentOS 7모든 내용은 VM 내 쉘에서 진행이 된다. 먼저 나는 CloudFlare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DDNS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위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선1. 자신의 도메인을 CloudFlare에 등록한다.2. VM을 등록한 A..
https://cloud.google.com/compute/docs/instances/moving-instance-across-zones 위 글을 참조하면 되는데 먼저 Compute Engine에 들가서 왼쪽 메뉴에 있는 스냅샷에 들간다.찍고자 하는 디스크의 스냅샷 하나 생성해 준다. 이번엔 디스크에 들어가서 디스크 만들기를 누르고 소스 유형에서 스냅샷 선택해서 방금 만든 스냅샷을 선택하고, 제일 중요한 옮기고자 하는 리전으로 지역을 선택한다. 그 후 디스크가 다 만들어졌으면, 인스턴스 새로 만들면서 옮기고자 하는 지역으로 선택, 디스크는 만들어놓은 디스크를 선택해서 생성하면 된다. 위 방식은 디스크만 옮기기에 적합하고 공인 IP, DB 등을 운영할 때에는 위 링크처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내용이 있다.